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6

역화 효과 - 죽어도 내 말이 맞다 우기는 사람의 심리 역화 효과(Backfire effect)의 정의 인간이 만약 완벽하게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존재라면, 자신의 생각이 틀렸음을 증명하는 반박 불가한 증거를 만나면 스스로의 생각을 수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 현실에서는 이와 정확히 반대의 상황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다. 인간이 자신의 생각을 반박하는 증거와 마주쳤을 때 이를 거부하고 오히려 원래 가지고 있던 생각을 더욱 굳건하게 하는 현상을 '역화 효과'라고 한다. 이것은 사람들의 생각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 그들이 틀렸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주어 그들의 신념을 더 강력하게 지지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화 효과의 예 역화효과는 2005년 다트머스 대학교의 정치학 연구팀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이 실험.. 2022. 9. 21.
시간 절약 편향 - 속도 위반 과태료가 아까운 이유 시간 절약 편향의 정의 당신이 운전자라면 출근이나 약속 시간에 늦었을 때 마음 졸이며 액셀을 밟아 본 경험이 있을 수도 있다. 또 굳이 당신이 늦은 경우가 아니라도, 여행을 가거나 피곤한 퇴근길 집으로 돌아올 때 목적지에 빨리 도달하고 싶은 마음에 내비게이션에서 흘러나오는 속도위반 경고음에 간신히 속도를 맞추며 아슬아슬하게 운전을 할 때가 있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실 이미 높은 속도에서 속도를 더 높이는 것은 시간을 그리 많이 줄여주지는 못한다. 시간 절약 편향(Time-saving bias)은 인간이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때 절약된 시간(이나 손실된 시간)을 잘못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좀 더 자세히 말해서, 빠른 속도에서 속도를 더 증가시킬 때 시간이 실제보다 더 많이 절약된다고 느끼는 반.. 2022. 9. 20.
모호성 오류 - 애매한 건 딱 싫어! 모호성의 오류 정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려고 스크롤을 올렸다 내리며 물건을 찾다 보면 가끔 마음에 드는데 리뷰가 0개인 물건을 발견하게 되는 때가 있다. 썸네일을 보면 딱 내가 원하는 사이즈와 구성이어서 '딱 이거다!'라는 반가운 마음에 상세 페이지를 확인해보지만 자세한 설명도 없는 사진 몇 장만 보인다. 이런 경우라면 아무리 상품이 마음에 들어 보여도 구매를 망설이게 된다. 이처럼 인간이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해 부족하거나 모호한 정보를 주는 선택지를 만났을 때 이를 회피하게 되는 경향을 모호성 오류라고 한다. 모호성의 오류 예 1. Ellsberg의 역설 엘스버그의 역설은 모호성 오류를 말할 때 가장 유명한 예이다. 만약 당신이라면 아래의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여기에 두개의.. 2022. 9. 18.
환상의 진실 효과 - 알고도 속게 되는 가짜 뉴스 환상의 진실 효과의 정의 각종 미디어를 통해 잘못된 정보들이 엄청나게 범람하고 있는 이때,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 중에 진실이 아닌 것은 얼마나 될까? 환상의 진실 효과(Illusory Truth Effect)란 잘못된 정보를 반복해서 접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그 정보가 사실이라고 믿게 되는 인간의 인지 편향을 말한다. 처음에는 말도 안 되는 거짓이라고 인지를 하는 경우에라도 같은 거짓 정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자신도 모르게 거짓 정보를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환상의 진실 효과가 발생하는 원인 뇌의 사고체계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A는 굳이 인식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에너지가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시스템이고, B는 더 정확하고 깊은 사고를 할 수 있는 수동모드인 대신 많은 에너.. 2022. 9. 17.